[Day2 /11월 27일(토)] 세션1
궁금하잖아요?
과학적인 사고에 기반한 상상 속 미래
곽재식
SF 작가
· 과학 SF작가
· 과학서 <로봇공화국에서 살아남는 법> 출간
· 과학서 <곽재식의 세균박람회> 출간
· 과학서 <곽재식의 아파트 생물학> 출간
· 교양서 <한국 괴물 백과> 출간
· 공학박사
강연 소개
과학기술인들과 SF작가들이 가장 많이 상상하는 미래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미래에 대해서 떠올릴 때 간과하기 쉬운 점들과 잊지 말아야할 요점은 무엇일까?
미래에 대해 좀 더 깊이 생각해 보고, 우리가 바라는 미래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을까?
누구나 들어 보면 궁금즘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우리의 앞날에 대한 궁금증을 여러가지 재미있는 상상할 거리들과 함께 풀어보는데 도전한다.
사전 질문 등록
연사 및 강연에 궁금한 내용을 입력하세요.
* 연관되지 않은 질문은 관리자에 의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사전질문은 회원가입 후 질문 가능합니다.
사전질문입력시 사전질문 이벤트에 자동응모됩니다.
무공과 마법 같은 경우 판타지로 분류되어 공상과학과 구분되는데,
SF가 될 수 없는 기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무공과 마법이 비과학적이라는 구체적인 설명 부탁드립니다.
1 세션 유익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북극의 빙하 속에도 바이러스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사실인지요? 만일 존재한다면 빙하가 녹으면 우리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어린시절에는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세상을 바라보다가,
점점 아는 게 많아질수록 호기심이 사라지고, 당연한게 많아지게 됩니다.
작가님께서는 최근 '유퀴즈' 방영 이후로
'물음표 살인마'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왕성한 호기심을 가지고 계신거 같은데요.
많은 공부를 하시고 지식을 축적했음에도 호기심을 유지하는 비법이 궁금합니다!
상상이 현실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과거 영화를 지금 보면 형태는 좀 다르지만 대부분 현실이 된것이 많은 것 같습니다.
어쩌면 상상과 현실에는 경계가 없는 느낌이기도 합니다.
공학박사님이시자 작가님이신데,
공학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는 저는 작가님처럼 그렇게 상상속의 캐릭터를 창조해내기가 쉽지않던데
과학을 기반으로 한 작가님의 상상력의 원천이 궁금합니다. 많은 사전조사로 만들어내지는 건지,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떠오르시는건지요?
과학기술 미래인재 컨퍼런스 2021 사무국
TEL. 02-6677-0178
E-mail. pmh@event.co.kr
COPYRIGHT© 과학기술 미래인재 컨퍼런스 2021 ALL RIGHTS RESERVED